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57)
러시아 연락사무소 및 법인설립 컨설팅 러시아 연락사무소 및 법인설립 컨설팅에 관심이 많은 컨설터들을 위해 전문적인 내용을 공유해보고자 한다.현재 우크라이나와 전쟁중인 러시아!그럼에도 러시아에 사업을 위한 업체중 러시아 연락사무소나 법인설립 컨설팅을 필요로 하는 업체가 있다.최근 화력 & 원자력 발전소 신재생에너지 / 패키지 모듈 제조 업체로 부터 컨설팅을 요청받아 견적을 제출하였다.​전쟁은 전쟁이고 경제는 경제고 또 사업은 사업이다라는 생각을 해본다.​러시아 연락 사무소 및 법인 설립 가능 지역러시아 블라디보스톡: 가장 저렴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러시아 모스크바: 가장 선호하나 전쟁등으로 가장 비용이 높음 러시아 연락 사무소 및 법인 형태 1. ООО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 유한..
아마존(Amazon.com) 비지니스 컨설팅 아마존(Amazon.com) 비지니스 컨설팅을 진행하며 기업 대상으로 또한 아마존 컨설팅을 하고자 희망하는분들을 위해 아마존 비즈니스 컨설팅 자료를 공유하고자 한다.​아마존 실무(셀러등록, FBA, 결재시스템, 판매방법, 짝퉁 신고)등에 대해서는 별도의 포스팅을 추후 추가로 작성할 예정이다."왜 아마존에서 판매해야 하나"Statista에 따르면, 아마존은 2017 년에 약 1780억 달러(약200조)의 순매출을 기록했으며, 2016 년 순 매출액에서 약 420 억 달러의 증가한 수치이다.​1) Amazon은 2017 년 2 월 당시 Amazon은 미국 온라인 소매 판매의 43 %를 차지했습니다. Fortune은 Amazon 매출이 2021 년까지 모든 미국 전자 상거래 매출의 50 % 이상을 차지할 것으..
해외사업 컨설팅 없이 진출한 기업이 실패하는 7가지 공통 원인 해외사업 컨설팅 없이 진출한 기업이 실패하는 7가지 공통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이 “우리 제품은 해외에서도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는 자신감으로 해외시장에 도전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기대와 다릅니다. 수많은 기업이 수출 계약을 체결하고도 1~2년 내에 사업을 접거나, 진출 초기부터 손실을 누적시킵니다.이러한 실패의 근본 원인은 자본 부족도, 기술력 부족도 아닙니다. 바로 전문적인 해외사업 컨설팅의 부재입니다.해외 진출은 단순한 판매 활동이 아니라, 시장조사·법적 리스크·문화적 적응·환율 정책·현지 네트워킹이 복합적으로 얽힌 전략적 행위입니다.해외사업 컨설턴트의 역할은 이러한 불확실성을 관리하고, 시장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도록 돕는 것입니다.이번 글에서는 해외사업 컨설팅 없이..
모래로 유리를 만드는게 사실일까? ■ 유리의 과학 ― 모래에서 투명한 세계를 만드는 기술1. 서론: “유리는 모래로 만든다?” ― 사실인가, 단순화인가“유리는 모래로 만든다”라는 말은 우리가 어릴 때부터 들어온 말이다.이 표현은 절반은 맞고 절반은 틀리다.유리의 핵심 재료가 모래(Sand) 인 것은 맞지만,그 모래는 우리가 해변에서 밟는 일반적인 모래와는 다르며,또한 모래만으로는 유리를 만들 수 없다.정확히 말하면,유리는 실리카(SiO₂) 즉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 를 주성분으로 하는비결정성(Amorphous) 고체이다.즉, 유리는 ‘모래를 녹여 만든 결정이 없는 고체’이다.그러나 여기에 다양한 화학첨가물과 온도 제어, 냉각 기술이 더해져야우리가 아는 투명한 창유리나 강화유리가 완성된다.2. 유리의 본질 ― 고체인가 액..
바다 최대 깊이 그리고 인류가 바다 깊은곳을 가기 힘든 이유 ■ 인간과 심해 ― ‘지구의 마지막 미지의 영역’1. 서론: 지구의 표면, 그 절반은 여전히 미지지구는 “푸른 행성(Blue Planet)”이라 불린다.그 이유는 명확하다.지구 표면의 약 71%가 바다로 덮여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이 광대한 바다의 대부분은 아직도 인간이 직접 탐험하지 못한 영역이다.우리는 달의 뒷면과 화성의 지형을 고해상도로 관찰하지만,정작 지구 바다의 바닥은 아직 95% 이상이 미탐사 상태다.그 이유는 간단하다 —바다는 깊고, 어둡고, 압도적으로 위험하기 때문이다.이제 우리는 과학적으로① 바다의 평균 깊이,② 가장 깊은 지점,③ 인간이 탐사한 최대 깊이,④ 그리고 그 한계를 규정하는 물리적 이유를 하나씩 살펴보자.2. 바다의 평균 깊이 ― 지구의 푸른 심연지구의 바다는 평균적으로 약 ..
지구 내부 탐험과 조사가 어려운 이유 ■ 지구 중심으로의 여정 ― 인간이 ‘지구 속’을 정복하지 못하는 이유1. 서론: ‘지구 중심으로의 여행’이라는 꿈지구 중심으로 내려간다는 발상은 오래전부터 인간의 상상력을 자극해왔다.줄 베른(Jules Verne)의 소설 『지구 속 여행』처럼,인류는 하늘을 향해 로켓을 쏘아 올리기 훨씬 전부터지구의 ‘아래’를 탐험하려는 욕망을 품어왔다.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우리는 수백만 킬로미터 떨어진 달에 착륙했음에도지구 내부로는 단 0.2%도 도달하지 못했다.즉, 인류는 자기 발밑의 행성조차 거의 탐험하지 못한 셈이다.그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지구 중심까지의 거리와인류가 실제로 도달한 가장 깊은 지점,그리고 그 한계를 규정하는 물리적·지질학적 이유를 과학적으로 살펴보자.2. 지구의 구조와 중심까지의 거리(..
태양계에서 인간이 가장 살기 적합한 행성은? 과학이 바라본 ‘제2의 지구’ 는 어디일까?1. 서론: ‘인간이 살 수 있다’의 과학적 정의“살 수 있다”는 말은 생물학적으로 단순한 생존을 의미하지 않는다.인간이 살아가려면 다음 다섯 가지 과학적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적정한 대기압과 기체 조성 – 호흡 가능한 산소와 안정적 압력.적정한 온도 범위 – 물이 액체로 존재할 수 있는 0~100°C 사이.방사선 차폐 – 우주선과 자외선으로부터 생체 보호.중력 수준 – 인간 생리학이 적응 가능한 약 0.3g~1.2g 범위.지속 가능한 자원 순환 – 물, 탄소, 질소, 광물 등 필수 자원 확보.이 기준을 바탕으로 태양계의 모든 행성을 비교하면,현재 기술로 인간이 ‘살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높은 행성’은 화성(Mars) 이라는 결론에 도달한다.2. 행성별 생존..
명왕성 가는 방법 명왕성 가는 과학적 방법은 태양계의 가장 먼 변방을 향한 장거리 항법의 결정판으로써 큰 의미가 있으면 방법론적으로 살펴보겠다.1. 서론: 태양계의 끝을 향한 항해명왕성은 태양에서 평균 59억 km(약 39.5AU) 떨어진 태양계 외곽 천체이다.2006년 국제천문연맹(IAU)의 행성 정의 개정으로 ‘왜행성(dwarf planet)’으로 분류되었지만,그 과학적 가치는 여전히 막대하다.문제는 단순하다.그 거리가 너무 멀다.빛조차 5시간 넘게 걸려 도달하며, 지구에서 로켓으로 직접 가면 수십 년이 걸린다.이 방대한 거리와 추운 환경은 단순한 추진 기술이 아니라,정밀한 궤도 설계·중력 보조·에너지 관리·통신 기술의 복합체를 요구한다.즉, 명왕성으로 간다는 것은 우주공학과 항법물리학의 극한을 시험하는 실험이다.2...
수성가는 방법 수성 가는 가장 안전한 과학적 방법은 태양에 가장 가까운 행성을 향한 정밀한 항해론적 측면에서 접근해볼 수 있다.1. 서론: 태양의 품으로 들어가는 도전수성(Mercury)은 태양에 가장 가까운 행성으로, 태양에서 평균 5,800만 km 떨어져 있다.태양에 너무 가까워서 표면 온도는 낮에는 430°C, 밤에는 –180°C에 달한다.또한 대기가 거의 없어 우주선의 궤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가 어렵고, 태양 중력의 영향으로 접근이 까다롭다.즉, 수성으로 가는 일은 태양으로 떨어지지 않고 균형을 잡는 고난도의 항법 문제다.그렇기에 ‘수성 가는 가장 안전한 과학적 방법’은 단순한 로켓의 추진력보다, 정확한 궤도 계산과 중력 보조, 방열 기술의 조합을 요구한다.2. 기본 전제: 수성까지의 거리와 에너지 요구량지구..
목성가는 방법 목성 가는 방법을 인류학적 관점으로 우주적 기억과 문화적 항해의 서술을 펼쳐보겠다.1. 서론: 하늘의 거인, 인간의 거울목성(Jupiter)은 태양계에서 가장 크고, 가장 강력한 행성이다.지구의 부피의 1,321배, 질량의 318배에 달하며, 그 중력은 인간의 감각으로는 상상하기 어렵다.그러나 흥미로운 점은, 인류는 오래전부터 목성을 “왕의 별”, “신들의 중심”, **“질서의 수호자”**로 여겨왔다는 사실이다.그리스인들은 그를 제우스(Zeus) 라 불렀고, 로마인들은 유피테르(Jupiter) 라 명명했다.즉, 목성은 천문학적 실체이기 이전에 이미 신화적 기호, 권력과 질서의 상징, 인류 정신의 중심 축으로 자리 잡아 있었다.“목성으로 가는 방법”을 인류학적으로 논한다는 것은, 결국 인간이 하늘을 어떻게..